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내년 10월·2022년 5월 두차례 발사한다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내년 10월과 2022년 5월 전남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다. 또 국가 재난·안전 대응 역량 강화와 미래 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 대비를 위한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 '천리안3호'가 2027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한국형발사체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과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 계획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한국형발사체 발사 시기를 '충분한 준비를 통한 발사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발사일 조정이 필요하다'는 전담평가단의 결정을 반영해 애초 내년 2월과 10월에서 내년 10월과 2022년 5월로 변경했다.
산·학·연 전문가 15인으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은 지난 9월부터 3개월간 향후 개발 일정을 종합적으로 점검, 발사 성공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개발을 위해 1차 발사는 내년 10월, 2차 발사는 2022년 5월에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과기정통부는 일정 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발사체의 1단부 개발이라고 밝혔다.
누리호는 추력 75t 엔진 4기를 결합(클러스터링)한 1단과 75t 엔진 1기의 2단, 7t 엔진 1기의 3단으로 구성된다. 현재 2단은 인증모델 조립을 완료했고 3단은 인증모델 조립과 성능 확인까지 마쳤다.
하지만 가장 큰 추력을 내는 1단부는 75t 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 된 구조로 체계 복잡성이 높아 인증모델 개발까지 분해와 재조립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 1·2·3단을 조립해 전기체(ILV : Integrated Launch Vehicle)를 만드는 과정과 극저온 환경에서 기체 건전성을 확인하는 작동실험(WDR)을 위해 시간이 추가 소요된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누리호는 정부가 2010년부터 총 1조9천572억원을 들여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해온 한국형 우주발사체로, 1.5t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의 지구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게 된다.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 3호) 개발 사업에는 내년부터 약 7년간 4천118억원이 투입되며, 2027년 하반기 발사를 목표로 개발이 추진된다. 과기정통부가 2천600억원, 국토부 533억원, 환경부 502억원, 해양경찰청이 483억원을 투입하는 다부처 사업이다.
천리안 3호 위성본체는 화학연료 탑재량을 줄이고 본체 탑재 용량을 늘릴 수 있는 전기추진시스템과 위성의 위치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고성능 글로벌위성항법시스템(GNSS) 수신기를 적용해 개발한다.
천리안 1호가 사용중인 Ka 대역 궤도 주파수를 이어받아 대용량 공공통신 중계를 맡을 '광대역통신 탑재체'와 L대역 주파수로 하천수위 정보를 중계할 '정보수집 탑재체', GPS 위치정보 정밀 보정 신호를 중계할 '위성항법보정 탑재체' 등 통신탑재체 3종은 해외자문을 받아 국내 주도로 개발한다.
정부는 천리안 3호를 향후 수재해 감시, 해경활동 지원, 재난지역 긴급통신 지원 등 재난·안전 대응 지원과 GPS 위치보정신호 제공, 미래 위성통신 기술 테스트베드 역할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표준화된 일정관리 체계를 마련해 연구현장에서 의무적으로 적용하게 하고 사업별 일정관리자를 지정, 관리역량을 강화해 향후 발사체, 위성, 달탐사 등 주요 체계개발 사업 추진 시 일정 지연이 최소화되도록 사업 관리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채린 기자 / 더인사이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