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다시 증가 900명 육박…1주 일평균 지역발생 3단계 근접(종합)

홈 > 사회
사회

확진자 다시 증가 900명 육박…1주 일평균 지역발생 3단계 근접(종합)

min123 0 입력  / 수정

1천30명 최고점 찍은 후 718명으로 급감…오늘 다시 880명으로 늘어

감염경로 불명 비율 23.8%로 상승…60대 이상 고령층 환자도 증가세

정은경 "하루 950∼1천200명 예측…국민-정부 합심해 방역체계 강화해야"


04e54fd7468ec22f424b0d90f130a01c_1607994638_3129.jpg
▲ 다시 분주해진 선별진료소


    국내의 우한 코로나(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기세가 좀체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일일 신규 확진자는 지난 13일 1천30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운 뒤 하루 만인 14일 700명대로 급감했지만 이는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휴일 영향 등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확산세가 억제된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


    실제 15일에는 확진자가 다시 800명대 후반으로 늘어나는 등 불안한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다 대표적인 위험도 지표 중 하나로, 언제·어디서 감염됐는지 알 수 없는 '감염경로 불명' 환자 비율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방역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방역 사령탑'인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현 상황을 "본격적인 대유행 단계에 진입한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고 규정하면서 확산세가 잡히지 않으면 하루에 950명에서 1천200명의 확진자가 나올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정부는 이번 3차 대유행을 진정시키기 위해 수도권에 임시 선별검사소 150곳을 추가로 설치해 대대적인 선제검사에 들어간 데 이어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다각도의 대책을 강구 중이다.


    아울러 병실 부족이 현실화하면서 중환자 병상·감염병 전담병원·생활치료센터 확충과 함께 의료진 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오늘 880명 신규 확진…최근 1주간 지역발생 일평균 774.4명, 3단계 근접 

    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880명으로 집계돼 직전일(718명)보다 162명 많았다.


    이 같은 확산세는 코로나19가 경증·무증상 감염자를 통해 일상 공간으로 파고들면서 크고 작은 새로운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지난 9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신규 확진자 수는 일별로 671명→680명→689명→950명→1천30명→718명→880명을 기록해 하루 평균 802.6명꼴로 발생했다.


    이 가운데 지역발생 확진자가 일평균 774.4명에 달해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역발생 확진자 수는 점차 3단계 기준(800∼1천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증가시)에 근접하고 있다.


    주요 신규 감염 사례를 보면 충남 당진시 나음교회 관련 확진자가 13일 43명에서 전날 102명으로 급격히 불어났다.


    또 경기 시흥시의 한 요양원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해 종사자 9명과 입소자 9명 등 총 18명이 확진됐고, 경북 안동시 복지시설에서도 12명의 감염이 확인됐다.


    이 밖에 경기 안산시 의류공장, 이천시 소재 보험회사 관련 확진자가 각 13명씩 나왔고, 전북 전주시에서는 칠순잔치를 고리로 가족을 포함해 총 8명이 감염됐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최근 감염 동향에 대해 "가족·지인·동료간 전파가 주된 전파인데 이는 행정적 조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연말을 맞아 가족·지인 간 모임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가급적 모임은 취소하고, 직장에서도 회식이나 소모임을 금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04e54fd7468ec22f424b0d90f130a01c_1607994669_5041.jpg
▲ 코로나19 브리핑하는 정은경 청장


    ◇ 감염경로 불명 비율 23%대로 상승…위중증 환자도 증가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감염경로 불명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달 1일부터 전날까지 2주간 새로 확진된 9천283명 가운데 23.8%에 해당하는 2천208명의 감염경로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이 비율은 이달 9일 19.0%, 10∼12일 20%(20.5%→20.9%→20.3%)를 유지하다가 13일 22.3%로 오른 뒤 전날에는 23.8%로 1.5%포인트 더 높아졌다.


    감염경로 불명 환자가 많다는 것은 지금도 어디선가 '조용한 전파'가 계속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규 확진자 수 증가와 더불어 감염경로 불명 비율 상승은 코로나19 상황이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위험도 평가 지표다.


    이런 가운데 감염 취약층인 60대 이상 고령 확진자 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 6∼12일 1주간 전체 확진자 가운데 60대 이상 비율은 32%로, 직전주(11.29∼12.5)의 22.9%에 비해 9.1%포인트 상승했다.


    고령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위중증 환자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지난 1일 위중증 환자는 97명이었으나 2일(101명) 100명을 넘어서더니 이후 일별로 117명→116명→121명→125명→126명→134명→149명→172명→169명→179명→179명→185명→205명을 기록하며 200명 선도 넘었다. 이달 1일과 이날을 비교하면 보름간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정 본부장은 "댐이 무너지듯 방역망이 무너졌을 때 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폭증하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국민과 정부가 합심해서 방역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국민 개개인의 방역 협조를 거듭 요청했다.



민소정 기자 / 더인사이드뉴스

0 Comments
글이 없습니다.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86 명
  • 오늘 방문자 757 명
  • 어제 방문자 838 명
  • 최대 방문자 1,892 명
  • 전체 방문자 202,589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20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