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금으로 저금리 대환대출?…진화한 보이스피싱 수법

홈 > 사회
사회

정부지원금으로 저금리 대환대출?…진화한 보이스피싱 수법

정은이 0 입력  / 수정

경기북부경찰, 검거사례 공개…"현금전달·계좌번호 요구 등 주의"

  "정부 지원금으로 저금리 대환 대출이 가능합니다. 기존 대출금만 현금으로 전달해 주세요." 

C0A8CA3C00000164D58EE58900006DCB_P2.jpeg
▲현금 갈취·사기피해·보이스 피싱 (PG)

    지난해 10월 피해자 A씨는 금융감독원 직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의 이런 말에 속아 1천650만원을 인출해 B씨에게 건넸다.

    A씨에게 돈을 받아 조직에 전달한 B씨는 경기 의정부경찰서의 추적으로 지난달 구속됐다. B씨가 비슷한 수법으로 조직에 돈을 전달한 횟수가 경찰이 확인한 것만 20회, 금액은 2억962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북부경찰청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최근 검거 사례와 범행 수법 등을 10일 공개했다.

    경찰은 최근 정부지원금으로 저금리 대환 대출을 해주겠다는 범죄 수법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생계가 어려워져 대출을 받은 서민들이나 투자 열풍에 따른 소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대출받아 투자)족을 노린 것이다.

    지난 1월 1천800만원을 보이스피싱 조직원에게 넘겨준 C씨 역시 비슷한 수법으로 당했다. 전화 속 목소리는 대출 상담을 하는것 처럼 말을 걸어와 C씨의 대출 상황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더니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면 더 좋은 조건의 대출을 할 수 있다"고 속였다.
 

PCM20210122000124990_P2.jpg
▲경기북부경찰청 로고 

    지난달 검거된 이 조직의 전달책 역시 총 17회에 걸쳐 3억795만원을 조직에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사를 사칭해 "계좌가 범행에 이용됐으니 인출해 금감원 직원에게 전달하라"고 속이는 기존 수법에 당하는 피해자도 여전히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북부경찰은 보이스피싱에 대응하기 위해 관내 13개 경찰서 수사력을 집중해 무관용 수사를 한다는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지능화·고도화되고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며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현금을 전달하라고 하거나 계좌번호 또는 PIN 번호를 요구하는 것은 100% 보이스피싱이니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은이 기자 / 더인사이드뉴스

0 Comments
글이 없습니다.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5 명
  • 오늘 방문자 313 명
  • 어제 방문자 376 명
  • 최대 방문자 1,892 명
  • 전체 방문자 191,679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20 명